풍부한 글쓰기를 위해서는 자료조사 단계에서 다양한 정보를 접하게 됩니다. 동일한 주제로 나와 같거나 반대되는 견해의 글과 다양한 시청각적 자료, 직접 얻을수 없는 정보 등을 통해 나의 글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타인의 지적 재산을 이용하는 것이 어디까지 허용되는 것인지, 나의 문서에 작성해되 되는 것인지 고민 될 때가 있습니다.
이번시간에는 타인의 글, 자료의 정당한 이용방법은 어떤 것이 있는지, 인용 시 약속된 표기방법(참고문헌 작성방법)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1. 표절과 인용 개념
가. 표절
- 문서작성 시 '표절'은 저작권법 침해보다 폭넓은 개념으로 법률 용어가 아닌 윤리적 개념이다.
- 표절은 타인의 저작물을 자신의 것처럼 공표하는 것으로 판례상 연이어 6단어 이상 똑같은 경우 표절로 인정되었다.
- 표절에는 타인의 글을 그대로 베껴 쓰는 것, 출처를 밝히지 않고 부분을 베껴쓰는 것, 다른 사람의 저작물에 있는 문장을 일부 옮겨오는 것 등이 해당된다.
- 표절은 타인의 생각, 표, 그림, 사진, 연구가설, 이론과 연구결과, 데이터, 자료조사, 독특한 표현단어 등 모두 대상이 된다.
나. 인용
- 타인의 글을 나의 생각과 해석을 더하기 위해 끌어다 쓰는 것이다.
- 공통되거나 상반된 의견을 통해 나의 주장을 뒷받침하고 강화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 저작권법 제28조 "공표된 저작물은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해 정당한 범위 안해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이를 인용할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다. 즉, 법에 따라 정당한 경우에는 침해가 아니라는 규정으로 '적법한 인용'이라면 원작자가 반대하더라도 출처를 밝힌다면 법적 문제가 없다.
2. 정당한 인용이란?
- 사회에 긍정적인 목적으로,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맞게 인용하는 것이다.
- 교육, 연구, 비평, 보도의 목적으로 인용이 가능하다.
- 내가 작성하는 글의 내용과 주장이 '주主'가 되고, 인용되는 내용이 '부'가 되어 나의 글이 대부분의 비중을 차지한다면 인용부분에 대한 명확한 출처를 명시해주는 것만으로 저작권 침해가 되지 않는다.
- 만약, 내가 작성한 글에서 '인용된 내용'을 삭제 후 글의 내용이 명확하지 않는 다면 '인용이 아닌 이용'으로 간주하여 원작자의 사용 허락을 받아야 한다.
- 인용은 예증, 해설, 보충, 강조, 상세화, 이유 제시 등을 위해 필요할 경우 사용할 수 있다.
3. 인용방법(참고문헌 작성방법)
- 참고문헌은 보통 단행본(책), 논문, 신문기사, 인터넷자료가 있다.
- 문헌의 종류에 따라 작성하는 순서와 방법이 상이하다.
- 저자명, 발형연도 등의 구분은 콤마(')가 아닌 온점(.)으로 표시해야한다.
<단행본>
- 작성방법: 저자명. 발행연도. 『도서명』. 소재지: 발행처.
- 예시: 홍길동. 2017. 『한국의 사회서비스 행정』. 율도: 박달사.
<번역한 책>
- 작성방법: 번역자명. 역서 발행연도. 『번역서명』. 원저자명. 원서발행연도. 원서명. 소재지: 발행처
- 예시: 홍길동 역. 2009. 『복지국가와 바우처』. Daniels, R., and Trebilcock, M. 2005. Rethinking the Welfare State: The Prospects for Governments by Voucher. 서울: 학지사
<논문>
- 저자명. 발행연도. “논문제목”. 『학술지명』, 권수(호수), 논문 페이지.
- 예시: 홍길동. 2016. “한국사회복지행정의 미래”. 『미래사회복지행정』, 11, 147-177.
<학위논문>
- 저자명. 발행연도. “논문제목”. 00학위논문. 00대학교.
- 예시: 홍길동. 2017. “직무성과 결정요인”. 박사학위논문. 한국대학교.
<편집한 책의 일부>
- 저자명. 발행연도. “제목”, 편저자명. 『도서명』 소재지: 발행처, 인용페이지.
- 예시: 홍길동. 2014. “배제에서 나눔으로: 한국경제 패러다임의 전환”. 임현진·손열 편. 『나눔의 사회과학 – 양극화와 불평등을 넘어』. 과천: 진인진, 35-72.
<신문기사>
- 언론사명. 발행연도. “기사제목”. 발행년월일.
- 예시: 신라일보. 2009. “사회서비스 확충과 지방 재정 ... ”. 2009.09.09.
[출처] 전안나. 2021. 「쉽게 배워 바로 쓰는 사회복지 글쓰기」. 인간과 복지.
'♧ 직장생활에 도움되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서 보존 기간(문서보존, 문서이관, 문서폐기) (0) | 2023.09.13 |
---|---|
(문서작성법Ⅴ) 공문서 작성법 (용지규격, 문서 수정 방법, 전결, 대결방법) (0) | 2023.09.12 |
(문서작성법Ⅳ) 공문서 작성법 기초부터 탄탄히 쌓아보자!(공문서 기안문 - 본문 작성법) (2) | 2023.08.29 |
(문서작성법Ⅲ) 공문서 작성법 기초부터 탄탄히 쌓아보자!(공문서 기안문-두문 작성법) (2) | 2023.08.25 |
(문서작성법Ⅱ) 공문서 작성법 기초부터 탄탄히 쌓아보자!(공문서 숫자 표시 방법, 항목표시 방법) (2) | 2023.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