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공문서 작성법 중 숫자, 날짜, 시간, 금액 표기 방법, 항목 구분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실제 사례를 첨부하였으니 작성에 도움 되길 바랍니다.
공문서 숫자 표시 방법
1. 숫자(영 제7조 제4항)
- 아라비아 숫자로 쓴다.
2. 날짜(영 제7조 제5항)
- 숫자로 표기하되 연, 월, 일의 글자는 생략하고 그 자리에 마침표를 찍어 표시한다.
- 월, 일 표기 시 ‘0’은 표기하지 않는다.
<예시 1> 2021.12.12. (×) → 2021. 12. 12. (○) : 한 타 띄우고 표기
<예시 2> 1985.09.06. (×) → 1985. 9. 6. (○) : ‘0’은 표기하지 않음
3. 시간(영 제7조 제5항)
- 시·분은 24시 각제에 따라 숫자로 표기하되, 시·분의 글자는 생략하고 그 사이에 쌍점( : )을 찍어 구분한다.
<예시> 오후 3시 20분(×) → 15:20(○), 오전 7시 9분(×) → 07:09(○)
4. 금액(규칙 제2조 제2항)
- 금액을 표시할 때에는 아라비아 숫자로 쓰되, 숫자 다음에 괄호를 하고 한글로 기재한다.
<예시> 금113,560원(금일십일만삼천오백육십원)
공문서 항목표시 방법
1. 공문서 항목의 표시
- 문서의 내용을 둘 이상의 항목으로 구분할 필요가 있으면 다음 구분에 따라 그 항목을 순서대로 표시한다.
- 필요한 경우에는 □, ○, , ∙ 등과 같은 특수한 기호로 표시할 수 있다.
2. 공문서 표시 위치 및 띄우기
- 첫째 항목기호는 왼쪽 기본선에서 시작한다.
- 둘째 항목부터는 바로 위 항목 위치에서 오른쪽으로 2타씩 옮겨 시작한다
- 항목이 두 줄 이상인 경우에 둘째 줄부터는 항목 내용의 첫 글자에 맞추어 정렬함이 원칙이나, 왼쪽 기본선에서 시작하여도 무방하다. 단, 하나의 문서에서는 동일한 형식(첫 글자 또는 왼쪽 기본선)으로 정렬한다.
- 항목기호와 그 항목의 내용 사이에는 1타를 띄운다.
- 항목이 하나만 있는 경우 항목기호를 부여하지 아니한다.
3. 하나의 본문 아래 항목 구분
- 하나의 본문에 이어서 항목이 나오는 경우에 항목의 순서 및 띄어쓰기는 다음 요령에 따른다.
- 첫째 항목은 1., 2., 3., ... 등부터 시작한다. (둘째 항목: 가., 나....)
- 첫째 항목은 왼쪽 기본선부터 시작한다.
⊙첫 직장생활에서 문서작성을 할때는 어렵게만 느껴지고, 능숙하게 업무를 수행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립니다.
⊙위의 내용을 읽고 반복해서 작성하며 연습해보시길 바랍니다!
⊙공문서작성 방법에 대해 궁금하신 부분이 있다면 댓글에 남겨주시면 할 수 있는 부분까지 도움드리겠습니다^^
[출처] 행정안전부. 행정업무 운영 편람 자료
'♧ 직장생활에 도움되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서 보존 기간(문서보존, 문서이관, 문서폐기) (0) | 2023.09.13 |
---|---|
(문서작성법Ⅴ) 공문서 작성법 (용지규격, 문서 수정 방법, 전결, 대결방법) (0) | 2023.09.12 |
(문서작성법Ⅳ) 공문서 작성법 기초부터 탄탄히 쌓아보자!(공문서 기안문 - 본문 작성법) (2) | 2023.08.29 |
(문서작성법Ⅲ) 공문서 작성법 기초부터 탄탄히 쌓아보자!(공문서 기안문-두문 작성법) (2) | 2023.08.25 |
(문서작성법Ⅰ) 공문서 기초부터 탄탄히 쌓아보자!(문서의 필요성, 기능, 공공언어) (7) | 2023.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