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심리 이론 및 정보

(우울장애) 우울증 검사 방법/검사지 다운로드

by 진심이91 2023. 9. 4.

우울증 검사지
우울증 검사지

 

오늘은 우울증 검사 방법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연령, 생애주기에 따라 다른 검사지를 사용하기도 하는데요. 비교적 짧은 시간안에 검사를 할 수 있으니 자신의 마음상태를 점검해보는 시간이 되셨으면 합니다.

 

우울증 검사의 종류

  • ① GDS: 30문항의 자기 보고형 우울척도, 우울증의 신체증상을 묻는 문항이 없는 특징이 있어 노인층에서 우울증상을 선별하고 측정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  CES-D: 20개 문항으로 개발된 자기 보고형 우울척도이며 우울증의 일차 선별용 도구이다.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높은 일치도와 타당도가 입증되어 있다.
  •  SGDS: GDS 문항 중에서 우울증상과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15문항을 선택해서 축소하여 제작했다. 
  • ④ MMSE: 인지기능 측정 검사로, 현재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매우 간편하고 당황하게 하는 문항이 없으며, 주관적 판단을 요구하는 문항이 거의 없어 쉽게 이용할 수 있다. 
  • ⑤ HRS-D: 관찰자 측성 우울척도이며, 우울증 진단을 받은 환자들의 우울증상 심도(severity)에 관한 의사의 임상적 판단을 수량화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1. 성인우울(CES-D) 검사도구 설명 / 검사지 다운로드

  • CES-D(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는 1971년 미국정신보건연구원(NIMH)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개발한 도구이다.
  •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 교수진이 2001년 통합적 한국판 CES-D를 개발하였다.
  • 문항을 너무 오래 생각하지 말고 즉각적으로 솔직하게 응답한다.
  • 1주일 전부터 오늘까지 자신의 상태를 가장 잘 나타낸다고 생각되는 문항의 번호를 선택한다.
  • 검사 후 채점 방식에 따라 채점하시면 됩니다. 메모지가 있다면 메모지에 답을 표시하면서 검사하면 좋다.
  • 채점 방법: 체크한 점수를 더합니다. (단, 4번. 8번. 12번. 16번은 거꾸로 계산하여 더한다. (0→3, 1→2, 2→1, 3→0))
  • 계산된 총점수를 확인한다.

통합적 한국판 역학연구센터 우울 척도 CES-D 문항.hwp
0.06MB

 

[출처]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2001).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건강, 6(1), 59-76.

 

 

 2. 성인우울(PHQ-9) / 검사지 다운로드

  • 간단하게 우울증을 선별하고, 심각도를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 자기 보고형 검사이다.
  • 주요 우울증의 진단기준에 해당하는 9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 최근 2주 동안 항목에 있는 문제를 얼마나 자주 겪었는지 물어본다.
  • PHQ-9 총점이 10점 이상으로 주요 우울장애가 의심되거나 9번 문항을 1점 이상으로 응답한 경우(즉, 자살/자해 생각이 있는 경우) 가까운 병∙ 의원(정신건강의학과 등 전문의)에서 진료를 받거나, 정신건강복지센터(또는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에서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안내해야 한다.

우울증 선별검사(PHQ-9).hwp
0.02MB

 

[출처]  박승진, 최혜라, 최지혜, 김건우, 홍진표(2010). 한글판 우울증 선별도구(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의 신뢰도와 타당도. 대한불안의 학회지 6, 119-24.

 

 3. 노인우울 (SGDS / GDS-K)

  • 노인 환자들의 우울 증상을 평가하는 데는 젊은 환자들과는 다른 독특한 점이 있다.
  • 첫째, 치매 증상과 유사한 점이 있다는 것이다. 소위 ‘가성 치매(pseudodementia)'라고 하여, 인지 기능검사에선 치매 증상과 유사한 검사 소견을 보인다. 즉, 노인 환자에게서는 젊은 환자에서는 흔치 않은 주관적으로 경험되는 기억력 감퇴, 집중력 저하, 계산능력 저하 등의 인지 기능의 저하를 많이 호소하고 있다.
  • 둘째, 젊은 우울증 환자와는 달리 다양한 신체증상은 노화의 과정과 무관하지 않다. 즉, 수면장애의 경우 젊은이들에게는 우울증의 증상이라 할 수 있으나 노인의 경우 성기능 감퇴, 변비, 관절의 통증과 같이 우울증과는 무관하게 정상적으로 흔히 볼 수 있다.
  • 셋째, 노인들은 심리 증상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젊은이들보다 더 회피적이고 저항적이다.
  • 따라서 노인 우울증 환자들을 평가하는 척도는 다른 연령층의 그것과는 구분될 필요가 있으며, 질문문항들도 보다 단순하고 쉽게 이해될 필요가 있다.

단축형 노인 우울 척도(SGDS-K) (1).pdf
0.06MB

 

 

 

[출처] 노인 우울 척도-단축형 (GDS-SF)
1) 한국판 : 조맹제, 배재남, 서국희, 함봉진, 김장규, 이동우, 강민희(1999). DSM-III-R 주요 우울증에 대한 한국어판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의 진단적 타당성 연구. 신경정신의학, 38권 1호, 48-63.
2) 원판 : Yesavage, J. A, Brink, T. L, Rose, T. L. &Leirer, V O.(198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Psvchiatric Research, 17, 37-49.

 

3. 산후우울(EPDS)

산후 우울 측정도구 (EPDS-K).hwp
0.02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