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정신장애가 발생하는 이유를 스트레스에 얼마나 적응하고 비적응하는지로 설명하고자 합니다.
또한, 모든 사람들이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어기제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합니다.
정신장애가 발생하는 이유 - 적응과 비적응 adaptation and maladaptation
스트레스의 영향
- 모든 종의 생명체들은 스트레스에 적응하기 위한 또는 스트레스를 방어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을 발전시켜 왔다.
- 스트레스란 행동 및 정신장애의 원인이 되는 내외로부터 오는 모든 자극을 말한다.
- 스트레스를 받으면, 이에 대처하기 위해 신경계를 각성 arousal 시키고, 근육계, 심혈관계, 내분비계를 활성화시킨다.
- 더불어 정신적으로도 인지작용과 감정작용이 활성화된다. 이때의 느낌은 공포와 불안이다.
- 스트레스가 반복되면 불안이 학습되거나 또는 조건화되고, 결국일반화된다.
- 유전적, 체질적으로 취약한 사람은 고조된 감정을 통제하지 못해 인격이 와해되거나 조절력을 상실하는 위험에 빠진다.
1. 스트레스를 대응하기 위한 전략
- 따라서 사람은 자신을 지키기 위해서, 정신적인 대응전략과 방어기제들을 동원하게 된다.
- 비상사태에서 다시 평형 equilibrium을 유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런 노력이 실패하면 탈진 exhaustion에 빠진다.
- 이처럼 스트레스에의 적응과 방어는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것이다.
- 사람은 정서적 욕구나 스트레스를 처리할 수 있는 심리적 적응방안도 함께 발전시킨다.
- 인격은 자동적, 무의식적인 정신적 과정을 통해 정신적 안정성 psychological stability을 유지하려는 경향성이 있다.
- 일반적으로 사람이 감당하기 어려운 생물학적·정신적·사회적 스트레스가 발생하면 대응전략과 방어기제를 사용하여 조정·극복하려 한다.
- 그런데 스트레스가 너무 크거나 누적되어 적응범위를 넘어 서면 스트레스에 대한 감정반응이 그대로 표현되거나(범불안장애) 또는 병적 방어기제를 동원하게 되어, 비적응적 행동 maladaptive behavior, 즉 정신과적 증상이 나타난다.
2. 비적응 maladaptation
- 스트레스에 적응하지 못하면 비적응 상태, 즉 병이 나타난다.
- 스트레스에 정신적으로 압도되면 무력해지며, 공황 panic에 빠지고, 나아가 신경증적 장애, 정신신체장애, 약물남용, 또는 여러 정신병적 장애가 초래된다.
- 정신장애는 결국 생물학적·정신적·사회적 소인과 유인들이 상호작용하여 개인의 적응이 잘못된 결과로 나타나는 비적응적 행동 maladaptive behavior이다.
- 환경적 스트레스가 작더라도 유전적, 기질적 소인이 강하게 있는 사람이면 정신과적 증상이 나타나기 쉽다.
- 유전적 소인이 적더라도 스트레스가 너무 크거나 많이 누적되면 정신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다.
대응전략 coping strategies
1. 대응
- 대응 coping이란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으로, 넓은 의미에서 방어기제도 포함된다.
- 대응이란 어려운 상황에 처하였을 때 의식적이며 보다 적응적인 반응을 보인다는 의미가 크다.
- 반면에 방어기제란 대부분 무의식적이며 비적응적인 반응을 보인다는 의미가 강하다.
2. 대응전략의 종류
- 사고초점의 변화 changing mental focus: 이는 의도적으로 어떤 사태에 대해 깊이 생각하거나 반대로 의도적으로 생각하기를 피하는 것이다.
- 사고형태의 변화 altering modalities of thought: 언어적 생각을 시각적 상상으로 바꾸는 것이다. 즉 병으로 음식을 못 먹게 된 사람이 음식의 모양과 냄새를 상상함으로써 배고픔을 달래는 것이다. 다른 예를 들자면 대형 교통사고를 당한 사람이 그가 본 참혹한 장면에 대한 감정적인 회상을 피하고 말로써만 기계적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 역할의 변화 shifting roles: 신체질병이 생겼을 때 활동을 삼가고, 의식 수준을 감소시켜 잠을 많이 자거나, 일시적으로나마 독립적 역할을 계속하기보다 남에게 의존하는 행동을 보이는 것이다. 즉 일시적 퇴행을 하는 것으로 반드시 병적이거나 비적응적인 것은 아니며 나중에 성숙으로 나아갈 수도 있다. 어떤 큰 집단(예: 학교, 군대, 종교집단)에 의존하거나 애착을 갖는 것도 이 같은 대응전략이다.
- 새로운 정보 획득 seeking new or additional information: 스트레스와 관련된 사태에 대해 자세한 정보를 아는 것, 즉 지식을 풍부히 하는 것은 중요하고도 흔히 사용되는 대응전략이다.
- 업무 선택 task involvement: 의미 있다고 생각되는 일을 선택적으로 하는 것이다. 장기적 행복을 위해 단기적 쾌락을 희생하는 것이 그 예이다.
- 사회적 지지 social support: 친구가 되어주고 정보를 제공해 주며 자신을 이해해 주는 사람 또는 집단과 개인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이다.
- 기타: 자기 통제 self-control, 유머, 철학, 가치관, 신앙, 창조적 작업, 정체성 확립, 직면 confrontation, 거리 두기 distancing 책임을 받아들임 accepting responsibility, 문제의 회피 escape-avoidance 등 여러 용어들이 대응전략으로 기술되고 있다.
방어기제 defense mechanisms
1. 방어기제란?
- 본능적 욕구가 좌절되면 불안이 생기고, 그 불안을 해소하지 못하면 무의식적으로 내적인 방어기제를 동원하게 된다.
- 사람은 스트레스에 대해 자신을 방어하고, 갈등을 일으키는 충동들을 타협시키고, 내적 긴장을 완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심리적 기교를 획득하게 된다.
- 이것은 무의식적으로 선택되고 자동적으로 작동되는 자아기능이다.
- 이를 정신기제 mental mechanism 또는 방어기제라 부른다.
- 방어기제와 대응전략이 구별되기는 하나 서로 중첩되는 점도 많다.
- 정상인이든 환자이든 간에 이러한 방어기제들을 긍정적 또는 적응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2. 방어기제의 성숙도
- 방어기제가 얼마나 원시적인가, 미숙한가, 또는 성숙한가에 따라 창조적인 행동, 보통행동, 신경증적 또는 정신병적 행동이 나타나게 된다.
- 자기중심적 narcissistic 방어(투사, 부정, 왜곡 등)는 소아 또는 정신병적 상태의 환자가 사용하고
- 미숙한 immature 방어(퇴행, 조현성 공상, 신체화, 건강염려, 내재화, 수동공격, 행동화, 차단 등)는 청소년들이 사용
- 신경증적 neurotic 방어(합리화, 해리, 지능화, 억압, 참기, 전치, 외부화, 격리, 성화, 반동형성, 통제 등)는 스트레스하의 성인들이 사용
- 성숙한 mature 방어(이타주의, 억제, 예기, 금욕주의, 승화, 유머 등)는 건강한 성인들이 주로 사용한다.
3. 방어기제의 종류
- 억압 repression: 억압은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가장 흔히 사용되는 무의식적 정신기제로, 역동정신의학의 기본이론이 된다. 이 기제에 의해, 용납되지 않는 욕구나 충동, 사고 등이 의식 밖으로 밀려나 무의식 속으로 잠기게 된다. 특히 죄책감이나 수치심 또는 자존심을 상하게 하는 경험일수록 억압되기 쉬운데, 그 전형적인 예가 기억상실이다.
- 억제 suppression:받아들이고 싶지 않은 욕구나 기억에 대해 주의를 주는 것을 의도적으로 또는 반무의식적으로 연기하는 것이다 무의식적 억압과 구별된다. 이때 불편은 의식되지만 최소화된다.
- 참기 inhibiting:불안을 피하기 위해 자아가 스스로 또는 초자아 또는 환경의 힘이나 다른 사람과의 연대하에 어떤 기능을 제한하거나 부인하는 것이다.
- 금욕주의 asceticism: 경험의 쾌락효과를 제거하는 것으로 특정 쾌락에 대한 가치를 결정하는 데 도덕적 기준이 개입된다.
- 투사 projection:용납할 수 없는 자신 내부의 문제나 결점의 원인이 자기 외부에 있다고 생각하는 기제이다. 예를 들어 자신이 누구를 미워할 때, 그가 자기를 몹시 미워한다고 생각한다. 관계망상, 피해망상 등을 비롯한 여러 가지 망상형성의 중요한 기제이다.
- 외부화 externalization:외부화는 개인 자신의 욕구나 기분, 태도, 사고를 외부세계나 외부대상에 있는 것으로 지각하는 경향으로 투사보다 더 넓은 의미가 있다.
- 동일시 identification: 타인의 특질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기제로, 자아와 초자아의 건강한 성장을 결정해 주는 데 가장 중요한 정신기제이다. 동일시가 잘 일어나게 하려면 계속적인 강화 reinforcement가 필요하다.
- 병적 동일시 pathological identification: 어렸을 때 부모로부터 부정적 경험을 하면 부모역할 동일시 parenting identify를 형성하게 되어 자기 자녀들이나 다른 것들에 대해 똑같이 부정적인 태도를 취하는 것을 말한다. 지나친 동정심이라든지, 범죄에 대한 거짓자백 등도 병적 동일시 때문이다.
- 투사적 동일시 projective identification: 원하지 않는 자신의 일부를 외부로 투사하고 이에 따른 상대의 반응을 다시 동일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누군가가 미울 때 그가 날 미워한다고 투사한 다음 그래서 자기도 그를 미워하게 된다는 것이다.
- 공격자와의 동일시 identification with aggressor: 자신에게 공격적인 사람에 대해 의식적으로 싫어하지만 무의식적으로 그의 강함을 동일시하는 도 있다.(예: 호되게 시집살이를 한 여자가 호된 시어머니가 됨. 아들이 무서운 아버지를 닮음).
- 가상적 성격 as if character: 자신에게 중요한 인물이나 인격양상에 대해 병적으로 동일시한 결과로 나타난 성격이다.(예: A. P. Chekhov의 소설의 주인공은 새 남편에 따라 성격이 바뀐다). 이는 경계성 성격장애나 조현성 성격장애의 특징이기도 하다.
- 감정의 전이 transference: 또한 어릴 때 중요하였던 인물에 대한 감정을 현재 대상에게 동일하게 느끼는 경우도 있는데, 그 때문에 까닭 없이 누군가를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가 생긴다. 전이는 정신치료에서 환자가 치료자에게도 느끼는 것으로 치료에 있어 중요한 개념이다.
- 감정이입 또는 공감 empathy: 대상인물의 감정을 잘 이해하는 것
- 내재화 introjection:보다 원시적 형태의 정신병적 동일시로서 내재화가 있는데, 이것은 자신과 타인을 어느 정도 구분하는 상태에서 일어나는 원시적 동일시로 대상의 특질을 하나의 이물질 foreign body로 갖는다.
- 함입 incorporation: 자신과 대상을 구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대상의 특질을 자기 것으로 만드는 기제이다. 반면 동일시는 타인의 특질을 자기 것으로 만들어 타인처럼 되는 것이다.
- 퇴행 regression:현재의 스트레스와 상관없는 그 이전의 어린 단계로 되돌아가는 것을 퇴행이라 한다 소변을 잘 가리던 아이가 동생이 태어난 뒤에 다시 야뇨증을 보이는 것이 좋은 예다.
- 고착 fixation: 어떤 스트레스에 부딪칠 때 이녁발달과정이 그 수준에서 중단되는 상태를 고착이라 한다.
- 합리화 rationalization: 사회적으로 용납될 수 없는 충동이나 행동에 대해 의식적으로 사회적으로 용납되는 그럴듯한 설명이나 이유를 대는 것이다. 의식적 거짓말과 달리 이것은 순전히 무의식적을 일어난다. 대표적인 예로 이솝우화의「신 포도」를 들 수 있다.
- 지식화 intellectualization: 받아들일 수 없는 충동이나 욕구를 의식하지 않기 위해 지적능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실제 현실을 강조하며 장황한 논리를 펴는 것이다.
- 보상 compensation: 생리적인 보상이나 신체적인 보상은 흔히 경험할 수 있는 일이다. 마찬기지로 ‘작은 고추가 맵다’는 속담처럼 체구가 작아 열등감이 있을 때 오히려 공격적이고 지배적인 속성을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사회적으로 용납될 만한 또는 누구나 칭찬해 마지않는 성격도 때로는 신경증적 욕구에 대한 보상일 수도 있다.
- 전치 displacement: 정서적 감정이 원래 대상에서 다른 대상을 향해 표현되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전치되는 대상은 원래 대상보다 감정적으로 덜 위협적인 대상이 선택된다. (예시 1) 소아의 말에 대한 공포증은 아버지에 대한 공포를 말에 대한 공포로 전치한 결과이다. (예시 2) 손 씻는 것 같은 강박증상, 상징화 등도 전치의 한 종류로 생각됨.(예시 3)"마리화나를 피우면, 내가 학교를 얼마나 싫어하는지 잊게 돼요"
- 대치 substitution: 욕구불만으로 생긴 긴장감을 감소시키기 위해 원래 대상과 비슷하고 동시에 사회적으로 용납되는 다른 대상 또는 취득 가능한 대상으로 만족하는 기전이다. 즉 ‘꿩 대신 닭’이라는 말이 이에 해당된다.
- 상환 restitution: 상환행위로 죄책감에서 벗어나려는 기제이다. 끊임없이 지칠 줄 모르는 마음씨 좋은 성품이나 어떤 창조적인 행위로 나타날 수 있다.
- 성화 sexualization: 불안을 피하기 위해 비성적인 대상이나 기능에 성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다.
- 부정(부인) denial: 엄연히 존재하는 위험이나 불쾌한 현실을 부정함으로써 그로 인한 불안을 회피하고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려는 방어기제이다. (예시 1) 말기 암 환자가 자기 병을 의식하지 못하거나 심지어 부정하는 것 (예시 2)"사람들은 아무 근거 없이 내가 약물을 사용하였을 것이라고 말해요."
- 격리 isolation:고통스러운 생각이나 기억을 그에 수반된 감정 상태와 분리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화나는 일을 말하면서도 분노의 감정을 못 느낀다.
- 분리 splitting: 자아나 대상을 전적으로 좋은 또는 나쁜 사람(것)으로 이분법적 구분을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의사는 무조건 좋은 사람이고 간호사는 나쁘다고 하며 이간질시킨다. 흔히 경계성 인격장애 환자에서 나타난다.
- 해리 dissociation:인격의 부분들 간에 의사소통이 잘 이뤄지지 않을 때, 괴롭고 갈등을 느끼는 인격의 일부분을 인격의 다른 부분과 분리시키는 기제이다. 이중인격 또는 다중인격 dual or mult personality, 몽유병 somnambulism, 둔주 fugue, 자동증 automatism, 자동수서 automatic writing 등이 예 가 된다.
- 왜곡 distortion: 엄연한 외적 현실을 내적 욕구에 따라 크게 변형시키는 것이다.
- 차단 blocking: 일시적으로 사고(또는 감정)가 중단되는 것을 차단이라 하는데, 예를 들어 진술을 하다가 갑자기 더 이상 생각이 나지 않아 중단된다. 이때는 억압과 달리 긴장이 발생한다.
- 신체화 somatization: 타인에 대한 부정적 감정이나 자책이 신체 증상으로 전환 convert 되어 나타나는 것이다. 즉 “사촌이 논을 사면 배가 아파진다.” 탈신체화 desomatization는 영아기의 신체반응이 사고와 감정으로 대치되는 것이고, 재신체화 resomatization는 현재의 해소되지 않은 갈등에 직면하여 영아기 때의 신체형 장애로 퇴행하는 것이다.
- 건강염려 hypochondriasis: 회피와 퇴행을 위해 앓음을 과장하거나 과도히 강조하는 것이다. 애도, 외로움, 타인에 대한 용납할 수 없는 공격적 충동에 의한 손상을 변형시켜, 자기에 대한 손상과 통증, 신체적 앓음, 신경쇠약 등으로 나타낸다. 이로써 책임은 피해지고 죄의식은 속여지고 본능적 충동은 차단된다. 이러한 건강염려증적 내재화는 ego-alien(자아에 용납되지 않음)하므로 자신에게도 불쾌하고 고통이 된다.
- 반동형성 reaction formation: 용납할 수 없는 감정이나 충동 또는 성향과는 정반대로 행동하게 하는 정신기제이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에 대한 공격적 증오심이나 죽기를 원하는 무의식적 욕구가 그 반대로 매우 예의 바르게 행동하고 걱정해 주고 관심을 갖는 태도로 나타날 수 있다. 이는 또한 항공포적 방어 counterphobic defense에 사용되는 기제이기도 하다. 즉 공포의 대상을 오히려 가까이하거나 보통 이상으로 몰두하는 행동으로, 높은 곳을 두려워하는 사람이 높은 곳으로 올라가거나 성에 대한 공포 때문에 오히려 성문란 행동을 하는 것이다.
- 이타주의 altruism: 반동형성의 하나로 자기 본능의 만족을 포기하고 다른 사람을 건설적으로 도와줌으로써 대리만족을 하는 것이다.
- 상징화 symbolization:어떤 사람이나 사물에 부착된 감정적 가치를 어떤 상징적 표현으로 전치시키는 것이다. 즉 상징화는 무의식의 언어라고 볼 수 있다. 꿈, 공상, 신화, 농담 등이 상징화의 가장 흔한 예이다. 보편적 상징 universal symbol이란 많은 사람들에게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상징을 말하는데, 예를 들어 길게 팽창하는 것이나 뱀이 남근 penis을 상징한다.
- 행동화 acting out: 무의식적 충동이나 욕구를 억제하거나 만족을 연기시키지 않고, 무의식적으로 즉각적 행동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 수동공격성 행동 passive-aggressive behavior: 타인에 대한 공격성을 수동적·비공격적으로 대상에게 향하도록 표현하는 것이다. 흔히 뚱함, 미적거림, 수행 실패 등으로 나타난다.
- 자신에게 향함 turning against self: 자기가 사랑하는 사람에게(부모 등) 공격적 충동이 생길 때, 이를 자신에게 돌려 자신을 해치는 것을 말한다. 공격대상을 내재화하고 이를 처벌하는 것인데, 우울증의 정신역동적 원인이다.
- 취소 undoing: 무의식적 욕구나 충동, 그에 의해 생긴 피해를 없애고 원상 복구하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죄의식이 있을 때 손 씻는 행동을 반복한다.
- 반복강박 repetition compulsion: 어떤 충동 때문에 실패한 경험으로부터 배우지 못하고 계속 일정한 병적 행동양상을 반복하는 것이다. 미숙한 자아는 실패를 거듭함에도 불구하고 같은 행동양상을 되풀이하기 쉽다. 예를 들어 남편이 알코올 중독자여서 결혼에 실패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또다시 알코올중독자와 결혼하는 것이다.
- 승화 sublimation: 원시적이고 용납되지 않는 충동을 억압으로 충분히 해결하지 못할 때 그 충동이 갖고 있는 에너지를 변형시켜 사회적으로 용납되는 건설적이고 유익한 목적을 위한 행동으로 표현하게 하는 기제이다. 따라서 가장 건전하고 바람직한 기제이다. 예를 들어 성충동이나 폭력충동이 승화되어 각종 예술, 문화, 종교, 과학 및 직업 활동으로 나타날 수 있다.
- 통제 controlling: 불안과 내적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건이나 대상을 관리·조절하려고 시도하는 것이다.
- 예기 anticipation: 미래에 나타날 정신적 고통에 대해 미리 현실적으로 예견하고 준비하는 것이다.
- 유머 humor: 자신에게 불편이나 무력감을 야기하지 않고 타인에게 불쾌감을 야기하지 않게 느낌이나 생각을 우스꽝스럽게 표현하는 것이다. 이로써 사람은 가지고 있기에 너무 힘든 것을 견딜 수 있게 되고 동시에 거기에 집중할 수 있게 된다.
- 공상 fantasy: 현실에서는 이룰 수 없는 소원이나 욕구를 상상 속에서 만족시키는 것으로, 백일몽 daydream이라고도 한다.
- 조현성 공상 schizoid fantasy: 자폐적으로 퇴행하여 대인관계를 피하고 특이한 형태를 띠며 공상을 전적으로 믿지는 않지만 행동화를 자제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4. 방어과정 defensive processes
- 자아의 방어과정의 예시는 성격방어, 전환, 공상, 꿈 등이 있다.
- Freud가 꿈의 연구에서 밝혀냈듯이 꿈에서도 많은 방어기제들이 결합되어 나타난다.
- 즉 압축 condensation, 전치, 상징화, 퇴행 및 기타 방어기제들이 나타나는데, Freud는 이를 꿈 작업 dream work이라 불렀다.
- 꿈의 기능은 소원의 부분적 만족과 무의식적 갈등의 해소, 사태의 예견 및 극복의 노력을 나타낸다.
- 성격방어란 개개인의 개성 있는 특징을 보여주는 여러 가지 지속적인 태도와 타인에게 접근 또는 반응하는 방식이다.
- 이는 독특하고 일정한 버릇이나 가식 affectation으로 나타나는데, 불안이나 기타 오래 지속된 정서들을 방어, 해소, 또는 배출시키기 위한 수단이 된다.
- 그러나 성격방어가 반드시 정신병리적 증상은 아니다.
- 증상이란 성격방어에도 불구하고 나타나는 한두 가지 방어기능의 병적 산물이다.
- 전환도 억압, 동일시, 전치, 부정 및 상징화의 방어기제들이 통합적으로 이용되는 방어과정이다.
'♣ 심리 이론 및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울장애) 우울증 검사 방법/검사지 다운로드 (1) | 2023.09.04 |
---|---|
(정신질환) 우울장애, 특징, 증상, 원인, 종류, 유병률 (2) | 2023.09.02 |
(최신정신의학) 정신장애가 생기는 생물학적, 정신적, 사회문화적 원인 (0) | 2023.08.23 |
(정신질환) 조현병Ⅳ - 조현병 인지행동치료, 조현병재활치료, 조현병 경과와 회복진행 과정, 가족들이 가져야할 태도, 조현병에 대한 오해와 편견 (0) | 2023.08.22 |
(정신질환) 조현병Ⅲ - 예방법, 치료방법 (2) | 2023.08.22 |